건강 백과
가장 소중한 우리가족의 건강을 지켜주는 봄빛 건강백과의 제안
당뇨병, 환자의 근육을 갉아먹는다
당뇨에 걸리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근육량이 줄어들 가능성이 3배나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남성보다는 여성이, 서양인보다는 동양인이, 나이가 많을수록 이런
현상이 더 심각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근육량이 줄어들면 노인이 됐을 때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등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대사증후군의 위험성을 높여 결국 심장 및
혈관질환에 걸릴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또 근육량이 적으면 신체 활동도 쉽지 않게 돼
일상생활을 하는 데 불편함이 커진다. 관련 전문가들은 당뇨에 걸렸다면 규칙적인 운동으로
근육량을 유지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 당뇨 환자, 일반인보다 근육량 줄어들 가능성 3배 커 최경묵 고려대 의대 구로병원
당뇨센터 교수팀은 810명(2형 당뇨 환자 414명, 일반인 39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일반인의 경우 근육량이 일정 기준 이상 줄어든 이들이 조사 대상의 6.9%인 반면, 당뇨
환자는 15.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특히 대상자들의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규칙적인 운동, 음주, 흡연, 고혈압 여부 등을 고려해 분석한 결과 당뇨 환자
가운데 근육량이 줄어든 비율은 일반인보다 3.1배가량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성별로는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근육 감소의 경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60대 이상을
비교해 보니, 근육량이 줄어든 남성은 일반인의 경우 5.1%인 데 견줘 당뇨 환자는 19%나 됐다.
60대 여성에서는 그 비율이 14%(일반인), 27%(당뇨 환자)로 나타났다. 40~59살에서는
남성은 일반인과 당뇨 환자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지만 여성은 당뇨 환자가 16.7%,
일반인은 4.1%로 나타났다. 여성 당뇨 환자의 경우 남성보다 근육이 줄어드는 경향이
더 빨리 나타나고, 그 정도도 더 심한 것으로 조사된 것이다.
최 교수는 “당뇨 환자의 경우 전체적으로 근육이 줄어들 가능성은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높았고, 특히 여성은 중년 역시 노년 여성만큼이나 근육 감소의 위험이 높았다”며 “나이가
들면서 남녀 모두 근육 감소의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특히 남성이 나이 증가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2007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한국형 마른 비만’ 연구에서 나왔으며, 미국의 <당뇨병학회지> 2010년 7월호에 실렸다.
■ 당뇨 환자가 근육 적으면 심장질환 위험성 높아져 당뇨 환자가 근육량이 적으면
노인이 됐을 때 걷기 등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으며, 고혈압•고지혈증•비만이 함께
나타나는 대사증후군의 위험성도 크게 높아진다. 대사증후군은 그 자체로 심근경색이나
심장마비 등 심장질환을 비롯해 뇌졸중 등 뇌혈관질환의 위험성도 높이며, 더욱이 당뇨가
함께 있기 때문에 이런 질환에 걸릴 가능성은 더 높아진다.
최 교수는 “당뇨 환자라면 말랐거나 정상 범위의 몸무게라도 근육량을 정확히 측정해,
부족하다면 유산소 운동과 함께 근력 강화 운동을 함께 해야 한다”며 “물론 운동은 늦어도
30~40대부터 시작해야 노년기 삶의 질을 높이고 당뇨는 물론 대사증후군 합병증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유산소운동과 근력강화운동 함께 해야 운동은 몸에 흡수된 열량을 소모시켜 혈당을
떨어뜨리며, 근육량도 증가시키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당뇨의 합병증도 예방하는 효과가
크다. 게다가 다른 생활습관병이 함께 있다면 콜레스테롤 수치나 고혈압도 낮춰 심장 및
혈관질환의 위험성도 줄일 수 있다. 다른 이들도 마찬가지이지만 운동은 매일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다만 인슐린을 투여하고 있는 환자라면 식후에 운동하는
것이 저혈당에 빠지지 않는 방법이다.
운동은 가능하면 매일 같은 시각에 30분~1시간가량 하는 게 좋으며, 근력 강화 운동과 함께
전신에 운동 효과가 있는 걷기, 맨손체조, 자전거 타기, 조깅 등이 권고된다. 하지만
동맥경화 등 당뇨 합병증이 심하면 가볍게 걷기 등을 제외한 심한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또 운동 전 혈당이 250 이상이면 수치를 낮춘 뒤 운동을 해야 한다.
출처 : 한겨레 신문